SPRING 3

[Spring] DTO, DAO, Service, Mapper

오늘은 DTO, DAO, Service, Mapper에 대해 작성해보겠다. 나도 예전에 대략적으로만 알고 이렇게 쓰는구나해서 따라 사용했지만 프로젝트의 크기가 커질수록, 구조에 대해 생각하면 할수록 내가 너무 조금만 알고 사용한다는 느낌을 받았다. 그렇기 때문에 내가 사용하는 프로젝트에 잘 적용하기 위해 공부를 했다. DTO DTO는 Data Transfer Object의 약자로 계층간 데이터 교환을 위한 자바 빈즈(java beans)이다. 일반적으로 DTO는 비즈니스 로직을 갖지 않고 Getter, Setter만을 갖는다 DB에서 data를 얻어서 Service - Controller로 보낼 때 사용하는 객체이다. 그 반대로 Client로부터 요청을 받아 DTO에 담아 이동하기도 한다. DTO의 사용..

SPRING 2022.11.08

[Spring] properties 설정과 @Value 어노테이션(null 에러)

스프링 프로퍼티를 이용한 값 설정 설정 값을 따로 분리해두면 의존 관계의 데이터를 소스 코드 변경없이 수정이 가능하다. @Value에 일반적인 값을 사용하면 내용이 바뀔 때마다 값을 변경해줘야 한다. 하지만 @Value에 프로퍼티 파일의 값을 참조하게 해주면 소스 코드의 수정 없이 @Value 어노테이션을 통해 프로퍼티에 주입되는 값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개발을 할 때 토큰, 시크릿 코드 등 보여주면 안되는 값들을 담고 있을 때 github에 올리면 큰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properties에 값을 설정하여 사용하고 .gitignore 설정하여 github에 올리는 파일에서 제외한다. properties 설정법 spring framework를 기반으로 한 properties 설정 방법이다...

SPRING/설정 2022.09.16

[Spring] Ajax로 list 뿌리기

이번에 Map을 자세히 공부하면서 HashMap에 대한 이해가 높아져 HashMap으로 값을 받아 Ajax로 list를 뿌리기로 하였다. 내가 개발중인 웹 페이지를 예시로 한다. 우선 주소로 접근을 했을 때 js의 함수가 실행이 된다. javascript function friendListAnswer() { var param = { i_user : setionIuser.value } console.log(param) fetch('/chat/home/friendListAjax', { method : 'POST', headers : { 'Content-Type' : 'application/json' }, body:JSON.stringify(param) }).then(function(res) { return ..

SPRING/기능개발 2022.01.21